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운동 중 체지방 연소에 목매지 마세요!
    Medical/비만클리닉 2009. 4. 21. 18:33
    체중 감소를 위한 운동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꼭 운동 중에 얼마나 많은 지방이 연소되는지? 얼마나 높은 비율로 지방이 연소되는지? 에 대해서 강조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는 체지방 연소를 위한 운동 시간이나 운동 강도에 연연하는 것 보다는 본인의 체력이나 성격, 상황에 맞는 운동 시간, 운동 강도를 선택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어떤 방식으로 운동을 할 때 가장 많은 지방 소비가 이루어지고, 체중 감량에 더 효과적이지 않겠냐?'식으로
    지방 소비에 관한 질문을 자주 받게 됩니다.

    운동 중의 지방 소비양이 가장 중요하다고 한다면, 요즘에는 운동 중에 지방 소비는 거의 기대할 수 없는 인터벌 트레이닝도 체중 감량 효과가 좋다는 연구가 종종 발표되는데, 좀 이상하죠??

    운동 중의 탄수화물이 연소되거나 지방이 연소되거나 둘 다 체중 감량이나 체지방 감량 효과가 좋은 이유를 간단하게 설명해 볼까요?

    다이어트를 위해서 지방 섭취량을 줄여도 탄수화물 섭취량을 늘리면 체중이 줄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면 간단한 문제입니다.

    운동 중에 지방을 연소시키는 것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면 지방 섭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운동 중에 탄수화물을 연소시키는 것도 역시 탄수화물 섭취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면 당연히 체중 감량이나 체지방 감량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운동 중에 탄수화물을 연소시키면 탄수화물을 섭취량을 줄인 것처럼 지방세포에서 분해되는 지방양을 늘리고, 혈액에서 지방세포로 들어가는 지방양을 줄일 수 있다.]


    같은 운동 강도로 운동을 하면 여자들이 지방 소비 비율이 더 높은 편입니다. 운동 전후에 근육 내의 글리코겐 양을 비교해도 여자들이 더 많은 양의 글리코겐이 근육 내에 남아 있습니다.[각주:1], [각주:2]

    체지방을 결정하는 부분에 있어서 운동 중에 지방 연소 비율이나 지방 연소량이 제일 중요한 요인이라고 한다면 여자 운동 선수들의 체지방양은 남자 선수들보다 적어야 할 것입니다.

    [여자 마라토너가 시합 중 지방 연소 능력이 뛰어나지만, 아직 기록은 남자 마라토너가 더 좋다. -사진 출처: wikipedia / Eckhard Pecher ]


    여자 운동 선수들의 지방 연소 능력이 남자보다 뛰어 나다는 이유로 한 때는 여자 마라토너의 기록이 남자 마라토너의 기록을 능가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마라톤 기록이라는 것이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라서 그런지 아직까지는 남자 선수들의 기록이 더 좋은 상태입니다.

    운동과 체지방 감소나 체중 감소라는 것도
    '운동 중의 지방 소비를 얼마나 하느냐?'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입니다.

    오늘도 같은 결론으로 정리할까 합니다.

    굳이 공복 운동, 식후 운동, 운동 강도, 운동 지속 시간 같은 것에 얽매이지 말고, 본인에게 가장 무리없는 시간대를 골라서 자신이 하고 싶은 운동을 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을 다시 한번 이야기 합니다...^^



    1. Braun, B., & Horton, T. 2001. Endocrine regulation of exercise substrate utilization in women compared to men. Exercise & Sports Science Reviews, 29(4), 149-154. [본문으로]
    2. Horton, T.J., Pagliassotti, M.J., Hobbs, K. & Hill, J.O. 1998. Fuel metabolism in men and women during and after long-duration exercis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85(5), 1823-1832. [본문으로]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