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지수?? 인슐린 지수??Medical/비만클리닉 2009. 7. 13. 12:08당지수와 인슐린 지수가 헷갈리게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같아서 다뤄보는 포스팅입니다.
국내 GI 테스트 전문 업체인 네오뉴트라 홈페이지에 있는 당지수의 정의를 한번 보겠습니다.
당지수(GI)는 Glycemic Index로 탄수화물에 포함되어 있는 당질의 양을 기초로 혈당치 상승률을 비교한 값으로 포도당을 먹었을 때 혈당치의 상승도를 100으로 각 음식을 섭취하였을 때의 혈당치 상승을 지수로 표시한 것
정의에서 보듯이 당지수는 음식 섭취에 따른 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의 상승 정도를 나타내게 됩니다.
[당지수에 따라서 음식 섭취 후 혈당의 변화 양상이 다르다 / 그림출처 - wikipedia]
물론 혈당이 상승하게 되면 인슐린 분비가 촉진되기 때문에 당지수는 인슐린분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인슐린 분비 수치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좀 번거로워도 아래와 같이 이야기합니다.
GI 고 식이 → 혈당치 상승 → 인슐린 분비 촉진 → 혈당치 하강 및 체지방 축적
GI 저 식이 → 혈당치 천천히 상승 → 인슐린 천천히 분비 → 식욕억제 및 포만감에 도움
당지수와 인슐린 분비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도 번거로움을 무릅쓰고 이렇게 설명하는 이유는 당분을 포함하지 않은 음식들도 대사과정을 거쳐서 인슐린 분비가 유발되기 때문입니다.1
당지수가 낮은 단백질 위주의 음식이나 지방 위주의 음식도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당지수 = 인슐린지수'로 표현하는 것을 주의하는 것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당지수는 탄수화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음식을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입니다.
- SH Holt, JC Miller, and P Petocz, An insulin index of foods: the insulin demand generated by 1000-kJ portions of common foods, Am J Clin Nutr 1997 66: 1264-1276 [본문으로]
반응형